게르하르트 폰 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하르트 폰 라트(Gerhard von Rad)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로, 구약학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1901년 뉘른베르크에서 태어나 에를랑겐 대학교와 튀빙겐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25년 바이에른의 루터교 란데스키르헤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이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특히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했다. 폰 라트는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를 통해 구약 연구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했으며, 저서로는 《구약성서신학》, 《창세기 주석》 등이 있다. 그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구약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한국 신학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경 해석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성경 해석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뉘른베르크 출신 - 마르틴 베하임
마르틴 베하임은 뉘른베르크 출신의 독일 상인이자 지리학자로, 1492년에 제작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인 "에르다프펠"로 유명하며, 이는 당시 유럽인들의 세계관과 지리적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뉘른베르크 출신 - 바츨라프 4세
바츨라프 4세는 카를 4세의 아들로 보헤미아 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었으나, 귀족과의 갈등, 전쟁, 종교적 분열로 불안정한 통치를 했고 얀 후스 처형 후 보헤미아는 후스 전쟁에 돌입했으며 그는 혼란 속에서 사망했지만 체코 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게르하르트 폰 라트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게르하르트 폰 라트 |
원어 이름 | Gerhard von Rad |
출생일 | 1901년 10월 21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뉘른베르크 |
사망일 | 1971년 10월 31일 |
사망지 | 서독 하이델베르크 |
교파 | 루터교 |
교육 | |
모교 |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
직업 및 경력 | |
직업 | 목사, 구약성경 교수 |
소속 | 고백교회 |
직위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구약성경 교수 |
칭호 | 목사 박사 |
저서 | |
주요 저서 | 헥사튜크 문제 및 기타 에세이(1938) 창세기 주석(1949-1953) 구약성경 신학(1958-1960) |
2. 생애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1901년 뉘른베르크에서 태어나 1971년에 사망했다. 에를랑겐 대학교와 튀빙겐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30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사강사가 되었고, 1934년부터 예나 대학교 교수, 1945년부터 괴팅겐 대학교 교수, 1949년부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스웨덴의 룬드 대학교와 영국의 웨일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6]
2. 1. 유년 시절과 교육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루터교 신앙을 가진 부모 아래 뉘른베르크(바이에른)에서 태어났다.[2] 그의 가문은 귀족 계급이었다.[3] 그는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교육받았고, 이후 튀빙겐 대학교에서 더 공부했다.
2. 2. 학문적 경력
폰 라트는 1925년 바이에른의 루터교 ''란데스키르헤''(Landeskirche, 주의 교회)에서 조직 사제가 되었다.[4] 1929년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했고, 1930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사강사가 되었다.[4] 1934년부터 1945년까지 예나 대학교 교수로, 1945년부터 1949년까지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5] 이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있는 하이델베르크 루프레히트 칼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가 되어 1971년 사망할 때까지 강의했다.[4]
스웨덴의 룬드 대학교와 영국의 웨일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6]
2. 3. 말년
폰 라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있는 하이델베르크 루프레히트 칼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71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강의했다.[4]
스웨덴의 룬드 대학교와 영국의 웨일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6]
3. 학문적 업적 및 영향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헤르만 군켈의 형식 비평과 알브레히트 알트, 마르틴 노트가 발전시킨 전승사적 접근 방식을 계승하여 구약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12] 그는 성서가 단순한 역사나 문학이 아니라, 공동체의 '고백'이라고 보았다.[12]
폰 라트의 혁신적인 논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구약 연구가 번창하는 데 기여했다.[13] 그는 구약 신학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으며, 그의 신학은 역사적 및 예언적 전승의 신학으로 이해된다.[14] 폰 라트는 기존의 체계적인 신학적 범주에 따라 구약 신학을 구성하는 것에 반대하고, 자료에 이질적인 구조를 부과하지 않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추구했다.[15]
폰 라트는 1929년부터 구약 연구에 꾸준히 기여했지만, 그의 주요 저술들은 1947년부터 1960년 사이에 출판되었다.[16] 주요 저술로는 「신명기」 연구, 「창세기」 주석, 『구약 신학』 2권, 그리고 1966년에 번역 출판된 『육경 문제 및 기타 수필』 등이 있다.[16]
3. 1.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
헤르만 귄켈이 창시한 형식 비평을 문서설에 적용한 독일 성서학자로는 마르틴 노트와 게르하르트 폰 라트가 있다.[8]나치 독일의 반유대주의는 독일 학자들 사이에서 "반 구약" 편향을 초래했다.[9] 폰 라드는 이에 곤혹스러워하며 구약 연구에 몰두, 점차 그 메시지를 되살리기 시작했다.[10]
그의 활발한 논문들은 구약 연구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새롭게 했다.[11] 그는 마르틴 노트와 함께 토라의 구전 전승에 대한 연구를 그 기원을 설명하는 데 적용했다.[8]
1960년, 폰 라드는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방문 학자로 활동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린스턴에 있는 동안 그는 리처드 A. 젠슨을 제자로 받아들였고, 젠슨은 그의 연구와 응용을 더욱 발전시켰다.
1929년, 폰 라트는 「신명기」 배후에 숨겨진 전승과 「신명기」가 전반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역사적 상황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여 유명해졌다. 1938년에는 『육서의 양식 비평학상의 문제』에서 육서(모세오경+여호수아서) 편집사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는 이스라엘의 서사적 역사 기술의 기원에 대해 상당히 설득력 있는 가설을 구축했다.
3. 2. 신명기 연구
폰 라트는 1929년의 연구에서 「신명기」의 배후에 숨겨진 전승과 「신명기」가 전반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역사적 상황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여 유명해졌다. 1938년에는 『육서의 양식 비평학상의 문제』에서 육서(모세오경+여호수아서)의 편집사 연구에 있어 선구자가 되었다. 그는 이스라엘의 서사적 역사 기술의 기원에 대해 상당히 설득력 있는 가설을 구축하였다.3. 3. 구약신학
마르틴 노트와 함께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헤르만 귄켈이 창시한 형식 비평을 문서설에 적용했다.[8]나치 독일의 반유대주의는 독일 학자들 사이에서 "반 구약" 편향을 초래했다.[9] 이에 곤혹스러웠던 폰 라드는 구약 연구에 몰두하여 점차 그 메시지를 되살리기 시작했다.[10]
그의 활발한 논문들은 구약 연구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새롭게 했다.[11] 그는 마르틴 노트와 함께 토라의 구전 전승에 대한 연구를 그 기원을 설명하는 데 적용했다.[8]
1960년 폰 라드는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방문 학자로 활동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린스턴에 있는 동안 그는 리처드 A. 젠슨을 제자로 받아들였고, 젠슨은 그의 연구와 응용을 더욱 발전시켰다.
캠브리지 대학교 트리포스 출신이자 인도 세쿤더라바드 안드라 기독교 신학교 전 학장인 빅터 프레마사가르(Victor Premasagar)는 성서 해석에 사용되는 비판적 방법과 도구를 소개하면서[12] 폰 라트에 대해 "벨하우젠(Wellhausen)의 문헌 비평 전통과 군켈(Hermann Gunkel)의 형태 비평 및 전승사적 접근 방식을 알트(Albrecht Alt)와 노트(Martin Noth)가 발전시킨 것을 계승하여 구약 연구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라고 서술한다.
프레마사가르 교수는 "폰 라드에게 있어서 성서는 궁극적으로 역사도 문학도 아니고, 오히려 공동체의 ''고백''이다."라는 결론을 내린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루르 대학교의 헤닝 그라프 레벤트로우(Henning Graf Reventlow)는 폰 라드의 저서를 소개하면서[13] "폰 라드의 혁신적인 논문들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구약 연구가 번창하는 데 길을 열었다"라고 평가했다.
미합중국 미시간주 앤드루스 대학교 제칠일안식교 신학교의 게르하르트 하젤(Gerhard Hasel)은 구약 연구 접근 방식에 대해 서술하면서[14] "구약 신학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으로, 독자적인 범주에 속하는 것은 게르하르트 폰 라드의 것이다. 그의 구약 신학은 역사적 및 예언적 전승의 신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라고 언급한다.
미합중국 애틀랜타 소재 에모리 대학교 캔들러 신학교의 존 H. 헤이즈(John H. Hayes) 교수는[15] "기존 방법론에 대한 도전과 새로운 제안을 담은 그의 신학에서 폰 라드(1901-71)는 구약 신학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는 이스라엘 사상의 중심 개념, 만연한 주제, 가정된 구조, 신앙의 세계 또는 체계적인 신학적 범주를 따라 구약 신학을 구성하는 것에 반대했다. 20세기 이후 모든 신학의 특징이었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료에 이질적인 구조를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서술한다.
영국 옥스퍼드 소재 옥스퍼드 대학교의 영구 사립 홀인 리전츠 파크 칼리지 전 학장인 G. 헨톤 데이비스(G. Henton Davies)는[16] "게르하르트 폰 라드는 1929년부터 구약 연구에 꾸준히 기여해 왔지만, 그의 주요 저술들은 1947년부터 1960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그의 주요 저술로는 신명기에 대한 연구, 창세기에 대한 주석, 『구약 신학』 2권, 그리고 1931년부터 1964년까지의 그의 수필들을 선별한 것으로 1966년에 『육경 문제 및 기타 수필』로 번역 출판된 글들이 있다. 하지만 이 글들의 대부분은 1940년대 후반에 쓰여졌다."라고 서술한다.
4. 다른 성서학자들의 평가
독일 루르 대학의 헤닝 그라프 레벤틀로우(Henning Graf Reventlow|헤닝 그라프 레벤틀로우de)는 폰 라트의 책을 소개하면서, 그의 혁신적인 논문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첫 10년 동안 독일에서 구약학이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13]
캠브리지 대학교 트리포스 출신이자 인도 세쿤더라바드 안드라 기독교 신학교 전 학장인 빅터 프레마사가르(Victor Premasagar)는 폰 라트가 벨하우젠의 문헌 비평 전통과 군켈의 형태 비평 및 전승사적 접근 방식을 알트와 노트가 발전시킨 것을 계승하여 구약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2] 또한 프레마사가르는 폰 라트에게 있어서 성서는 궁극적으로 역사나 문학이 아닌, 공동체의 '고백'이라고 결론 내렸다.[12]
미국 미시간주 앤드루스 대학교 제칠일안식교 신학교의 게르하르트 하젤(Gerhard Hasel)은 폰 라트의 구약 신학이 역사적 및 예언적 전승의 신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14]
미국 애틀랜타 소재 에모리 대학교 캔들러 신학교의 존 H. 헤이즈(John H. Hayes) 교수는 폰 라드가 기존 방법론에 도전하고 새로운 제안을 담은 신학을 통해 구약 신학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했다.[15] 그는 폰 라드가 이스라엘 사상의 중심 개념, 만연한 주제, 가정된 구조, 신앙의 세계 또는 체계적인 신학적 범주를 따라 구약 신학을 구성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료에 이질적인 구조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영국 옥스퍼드 소재 옥스퍼드 대학교의 영구 사립 홀인 리전츠 파크 칼리지 전 학장인 G. 헨톤 데이비스(G. Henton Davies)는 폰 라드가 1929년부터 구약 연구에 꾸준히 기여했지만, 그의 주요 저술들은 1947년부터 1960년 사이에 출판되었다고 설명했다.[16] 그의 주요 저술로는 신명기에 대한 연구, 창세기에 대한 주석, 『구약 신학』 2권, 그리고 1931년부터 1964년까지의 그의 수필들을 선별한 『육경 문제 및 기타 수필』(1966년 번역 출판)이 있다.[16]
5. 폰 라트의 저작 목록
- Das Gottesvolk im Deuteronomiumde, Göttingen 1929 (신명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백성)
- Die Priesterschrift im Hexateuchde 1934 (육경에 나타난 제사장 문헌)
- Das formgeschichtliche Problem des Hexateuchsde (BWANT 26). Stuttgart: Kohlhammer 1938. (육경의 양식사 문제)
- Der Heilige Krieg im alten Israelde, Göttingen 21952 (구약의 성전)
- Deuteronomium-Studiende, Göttingen 1947 (신명기 연구)
- Das erste Buch Mose: Genesisde.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Bd. 1: 1949, 111981; Bd. 2: 1952, 61967; Bd. 3: 1953, 51967. (모세의 첫 번째 책: 창세기)
- Das fünfte Buch Mose: Deuteronomiumde.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64, 31978. (모세의 다섯 번째 책: 신명기)
- Gottes Wirken in Israel: Vorträge zum Alten Testamentde.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1974. (이스라엘에 활동하시는 하나님)
-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Band 1: Die Theologie der geschichtlichen Überlieferung Israelsde. München 1957, 101992. (구약성서신학 1권: 이스라엘의 역사전승신학)
-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Band 2: Die Theologie der prophetischen Überlieferung Israelsde. München 1967, 91987. (구약성서신학 2권 : 이스라엘의 예언전승신학)
- Weisheit in Israelde.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1970. (이스라엘의 지혜)
- '''육면체 문제와 다른 에세이들'''
- '''창세기: 주석''' (구약성서 도서관)
- '''신명기: 주석''' (구약성서 도서관)
- '''신명기에 관한 연구''' (성서신학 연구) ASIN B0007JWYNA
- '''구약 신학'''
- '''구약 신학''', 단행본
- '''예언자들의 메시지: 구약 신학'''
- '''고대 이스라엘의 성전 전쟁'''
- '''독일어 구약성서''' (ATD), Tlbd.2/4, '''창세기''' (Das Alte Testament Deutsch|독일어 구약성서|de 창세기 부분)
- '''이스라엘에서 일하시는 하나님'''
- '''설교에서의 성서 해석'''
- '''이스라엘에서의 하나님의 역사: 구약에 관한 강의''' (Gottes Wirken in Israel: Vorträge zum Alten Testament|이스라엘에서의 하나님의 행위: 구약에 관한 [공개] 강연|de)
- '''이스라엘의 지혜'''
- '''예언자들의 메시지''' ASIN B0006C6BA0
- '''이스라엘의 지혜''' ASIN B000E1Q3CY
- '''구약 신학''' (복음주의 신학 소개) ASIN B0007JBBTI (Einführung in die evangelische Theologie|복음주의 신학 소개|de, 루터교 관련 신학)
- '''바실레이아''' (Theologisches Wörterbuch zum Neuen Testament|게르하르트 키텔의 신약 성서 신학 사전|de에서 발췌) ASIN B000BGT0RW
- '''구약 신학''', 2권.
- '''카이저(Kaiser) 소책자, 1권, 구약 신학. 이스라엘 역사적 전승의 신학'''. (Kaiser|카이저|de [출판사 이름] 소책자)
- '''독일어 구약성서''' (ATD), Tlbd.8: '''신명기''' (Das Alte Testament Deutsch|독일어 구약성서|de 신명기 부분)
- '''1945년 봄 포로 수용소 회상''' (Erinnerungen aus einem Kriegsgefangenenlager Frühjahr 1945|1945년 봄 포로 수용소의 기억|de)
- '''설교 명상'''
- '''에이레네''' (포켓 요약집 시리즈) ASIN B0007FP9LI
- '''야훼의 날 개념의 기원''' ASIN B0007JF2HA
- '''창세기에서 역대기까지: 구약 신학 탐구'''
참조
[1]
웹사이트
von Rad, Gerhard
https://www.bibelwis[...]
2020-03-17
[2]
서적
Contemporary Old Testament Theologians
Judson Press
1970
[3]
웹사이트
Gerhard von Rad
https://biography.yo[...]
[4]
참고문헌
Ibid.
[5]
참고문헌
op. cit.
[6]
서적
Wisdom in Israel
SCM Press
1985
[7]
논문
Review: Genesis, A Comment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4-09-01
[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
SSRN
Reading the Bible in Nazi Germany: Gerhard Von Rad's Attempt to Reclaim the Old Testament for the Church
2011-05-25
[10]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11]
웹사이트
Henning Graf Reventlow introduces Rad's "From Genesis to Chronicles: Explorations in Old Testament Theology"
http://www.bookrevie[...]
Society for Biblical Literature
2007-04-26
[12]
서적
Interpretive Diary of a Bishop - Indian Experi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some Biblical Passages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2001-08-01
[13]
참고문헌
op. cit.
Society for Biblical Literature
[14]
서적
Old Testament Theology: Basic Issues in the Current Debat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5-08-01
[15]
서적
Old Testament Theology - Its History and Development
SCM Press Ltd
1985
[16]
참고문헌
op. cit.
[17]
웹사이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Rad, Gerhard Von), 예언자들의 메세지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